통합 검색
통합 검색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로 한국에서는 유심(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이라고 부르며, SIM 카드라고도 부른다. 휴대 전화에 끼워서 쓰는 일종의 스마트카드/IC 카드입니다. 한국에서는 SK텔레콤과 KT가 3G WCDMA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도입되었다. SIM은 그냥 가입자 식별 도구일 뿐 일반적으로 통화 기록, 연락처, 문자메시지 등을 저장하지 않는다. 저장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이 있으나 매번 사용자가 직접 옮기기 버튼을 눌러 실행해야 하므로 이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USIM 별로 크기가 다르다. 특히, 나노 SIM의 경우에는 두께가 다르다(마이크로까지 0.76mm, 나노는 0.67mm). SIM 카드를 보면 알겠지만 커다란 풀사이즈 SIM에서 더 작은 규격의 SIM을 뜯어서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현재는 나노 유심이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e심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유심은 크기로 구분할 뿐 LTE, 5G 통신망 구분은 없다.
유심을 개통하신 후 기존폰, 자급제폰, 중고폰, 해외 직구 휴대폰에 유심을 넣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와 함께 유심을 개통하는 방식이었지만 요즘은 단말기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유심만 개통해서 기존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늘고 있다. 타 통신사로 번호이동하면서 유심만 개통해서 기존 폰을 재사용하는 경우 공시지원금은 받을 수 없지만 선택약정할인 혜택과 현금 사은품을 받을 수 있어서 이용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폰슐랭샵, 엘지티샵에서 구입하는 경우 최저 5만 원, 최대 25만 원까지 현금 사은품을 받을 수 있다. 매장 방문 없이 쉽고 편리하게 유심칩 신청하고 사은품 받아보세요.
LG U+: SK와 비슷하나 다른 점은 NFC SIM은 NFC SE 애플릿을 USIM에 다운로드하면 본인 것도 재활용이 안 된다. LG U+ 통신망 사용 알뜰폰: 초기화 화지 않은 유심은 타인 또는 다른 번호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미리 초기화 해두는 것이 좋다.통신회사들이 기계에 락을 걸어서 정해진 SIM만 쓰게 하는 걸 SIM 락이라고 부른다. "통신사 락"이라고 부른다. 보통 캐리어 락 또는 컨트리 락으로 많이 불린다. 한국과 일본[31] 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죽어도 안 풀어주는 경우, 돈을 받거나 일정기간이 지나면 풀어주는 경우가 있다. SK Telecom, KT, LG U+ 통신 3사의 독과점 문제와 타 통신사 이용을 방해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대기업들의 이기주의 때문에 발생한 소비자 불편이다. 소비자들이 통신사 갈아타기로 타 통신사로 가버리면 수익이 0원이 돼버리기 때문에 대기업들은 고객 1명도 놓치지 않는 게 목표이다. 그래서 다른 통신사 USIM이 휴대폰에 끼워져서 사용되는 것을 원천차단해 통신사 Lock을 걸어버린다. 고객 디바이스(휴대폰)에 Lock을 걸어버리는 건 소비자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인데도 불구하고 시장 독점이라는 이유로 대기업들의 횡포에 소비자들만 큰 불편을 겪었다.